
Ioc(Inversion of control)란? -IoC(제어의 역전)이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 구조가 뒤바뀌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흐름은 main() 메소드와 같이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다음에 사용할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결정한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만들어진오브젝트에 있는 메소드를 호출하고, 그 오브젝트 메소드 안에서 다음에 사용할 것을 결정하고 호출하는 식의 작업이 반복된다. 제어의 역전이란 이런 제어 흐름의 개념을 거꾸로 뒤집는 것이다. 오브젝트가 자신이 사용할 오브젝트를 스스로 선택하지 않는다. 당연히 생성하지도 않는다. 또 자신도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디서 사용되는지를 알 수 없다. 모든 제어 권한을 자신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위임하기 때문이다. 스프링에서는 applicatio..

잘 정리된 글이 있어 의역해봅니다. 출처입니다.https://www.programcreek.com/2013/04/what-is-servlet-container/ 이 글에서는 웹 서버, 서블릿 컨테이너 그리고 이것들과 JVM과의 관계를 일반적인 생각을 적습니다. 서블릿 컨테이너는 자바 프로그램에 불과하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1. 웹서버란? -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 서블릿 컨테이너를 알기전에 웹서버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합니다. 웹서버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자는 브라우저에 URL(e.g. www.programcreek.com/static.html) 을 입력하고 웹페이지를 얻게 됩니다. 웹서버가 하는 일은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

작업을 하다 보면 다루어야 할 데이터도 많아지고, 테이블도 많아집니다. 그에 따라서 사용하는 쿼리문이 길어지기도 합니다. 쿼리가 길어지다 보면 과거 심플하던 시절에는 없던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번에 제가 발견한 케이스가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사용했던 쿼리의 형태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3개의 테이블을 A 테이블의 m_id를 중심으로 join하고, 그 결과값을 원하는 기준으로 정렬한 후에 특정 컬럼을 기준으로 group하는 쿼리입니다. SELECT * FROM (SELECT A.m_id, A.name, B.gender, C.items FROM A JOIN B ON A.m_id = B.m_id JOIN C ON A.m_id = C.m_id ORDER BY A.regdt DESC ) AS RESULT ..
- Total
- Today
- Yesterday
- bean
- 개발환경
- www
- application context
- order by
- bean factory
- maiardb
- 도커
- Docker
- url
- http
- 웹
- 리눅스
- URN
- 윈도우
- spring
- mysql
- REST
- GROUP BY
- 컨테이너
- DI
- Subquery
- uri
- API
- 인터넷
- IO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